본문 바로가기
모의해킹 침해대응 과정/Liunx 관리

리눅스 디렉토리에 대하여 / day 6

by 알거음슴 2021. 4. 6.

리눅스 홈 아래 다양한 디렉토리의 역할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

[참조]

/
├── bin -> usr/bin
├── boot
├── dev
├── etc
├── home
├── lib -> usr/lib
├── lib64 -> usr/lib64
├── media
├── mnt
├── opt
├── proc
├── root
├── run
├── sbin -> usr/sbin
├── srv
├── sys
├── teat
├── test
├── tmp
├── usr
└── var

* man 7 file-hierarchy  또는 man 7 hier 안에 모든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.

 

1. 리눅스 내 주요 디렉토리

 

/(root) : 시스템 관리자의 홈 디렉토리 root의 환경파일이나 운영체제 설치 기록등이 있다.

/bin(binaries) : 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들이 모여있는 디렉토리

/etc : 각종 환경 설정에 연관된 파일들과 디렉토리들을 가진 디렉토리

/boot : 리눅스의 커널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

/mnt : 외부장치 (플로피디스크, CD-ROM, Samba) 를 마운트 하기위해 제공되는 디렉토리

/usr : 공유할 수 있는 디렉토리와 파일, 모든 프로그램과 그에 관련된 명령어 및 라이브러리들이 있음.

/lib : 프로그램들의 각종 라이브러리가 존재

/home : 시스템 계정 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들이 저장.

/dev : 시스템의 각종 디바이스들의 목록이 들어있는 디렉토리

/proc : 시스템의 각종 프로세서, 프로그램 정보 및 하드웨어적인 정보들이 저장

/var :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변적인 파일들이 저장

/tmp : 임시 파일들을 위한 디렉토리

/run : 마지막 부팅 이후 시작된 프로세스의 런타임 데이터이다.

 

* 각종 디렉토리의 대한 설명은 man 7 file-hierarchy 에 매뉴얼로 저장되어 확인 가능하다.